1. 변수 (Variable)
변수란 데이터의 저장과 참조를 위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붙인 이름이다.
int A;
라고 코드에 입력하여 컴파일하면 이는
'integer 형태를 저장할 공간을 할당하며, 이 공간을 num 이라 이름 짓는다.'
라는 표현이 된다.
8,9행에서 A 와 B 라는 변수에 1 과 2 라는 값을 = 를 통해서 대입하였다.
또한 C 는 11번 행에서 선언과 동시에 연산을 하여 값을 대입하는 형태를 나타내었고
이를 통해 12행에서 C 값을 print 해주었다.
해당 코드의 output 은 3이다.
위의 표는 자료형의 종류이다.
변수 이름 명명에는 몇가지 규칙이 있다.
ㄱ.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되어서는 안된다.
ㄴ.$와_ 이외의 다른 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다.
ㄷ.키워드는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키워드는 문법에서 사용하는 int 나 char 같은 단어들이다.
2. 정수의 표현 방식
1바이트 기준의 정수 표현 방식을 보자면
다음과 같이 가장 좌측의 비트는 부호, 나머지 7개의 비트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 값은 46을 나타내는데 이는 2+4+8+32 로 2의 N 승의 값들의 합을 나타낸다.
음의 정수는 맨 처음 부호가 0이 아닌 1이 되면 음의 정수를 표현한다.
음의 정수는 양의 정수에서 단순히 맨 좌측의 비트에 1을 붙인 값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나타난다.
이 결과 값을 처음의 값과 덧셈을 해주면
00101110 + 11010010 = 1 00000000
이 되면서 8비트를 넘는 1값은 버려지면서 0이 되게 된다.
이렇게 음의 정수 값을 확인 할 수 있다.
3. 실수의 표현
1과 2의 사이에는 무한대의 실수가 존재한다.
그런데 컴퓨터로 이 무한대의 숫자를 표현하기는 불가능 하다.
그래서 IEEE 라는 조직에서는 IEEE 754 라는 표준을 만들어 놓았다.
이 표현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 표현식은 많은 값을 표현할 수 있지만 아주 정밀하게는 표현하지 못함을 유의하자.
자바에서 연산시에 유의할 점이 있는데
ㄱ.자바는 정수형 연산을 int 형으로 진행한다.
이로인해 short 형이나 byte 형등의 계산은 저절로 int 형으로 형변환이 됨을 유의하고 결과값도 int 형임을 유의하자.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실행 흐름 컨트롤 (자바 독학하기 6) (0) | 2021.06.07 |
---|---|
[JAVA] 연산자 (Operator) (자바 독학하기 5) (0) | 2021.06.03 |
[JAVA] 상수(Constants) (자바 독학하기 4) (0) | 2021.06.03 |
[JAVA] JAVA 기본 골격 및 System.out.println (자바 독학하기 2) (0) | 2021.06.01 |
[JAVA] JAVA 학습을 위한 기본 설치 (자바 독학하기 1) (0) | 2021.05.31 |